본문 바로가기

Python158

백준 - 4948 문제 베르트랑 공준은 임의의 자연수 n에 대하여, n보다 크고, 2n보다 작거나 같은 소수는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명제는 조제프 베르트랑이 1845년에 추측했고, 파프누티 체비쇼프가 1850년에 증명했다. 예를 들어, 10보다 크고, 20보다 작거나 같은 소수는 4개가 있다. (11, 13, 17, 19) 또, 14보다 크고, 28보다 작거나 같은 소수는 3개가 있다. (17,19, 23) 자연수 n이 주어졌을 때, n보다 크고, 2n보다 작거나 같은 소수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입력은 여러 개의 테스트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다. 각 케이스는 n을 포함하는 한 줄로 이루어져 있다. 입력의 마지막에는 0이 주어진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서, n보다 크고.. 2022. 7. 16.
백준 - 1676 문제 N!에서 뒤에서부터 처음 0이 아닌 숫자가 나올 때까지 0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0 ≤ N ≤ 500) 출력 첫째 줄에 구한 0의 개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10 예제 출력 1 2 예제 입력 2 예제 출력 2 0 내 풀이 n = int(input()) print(n//5 + n//25 + n//125) 2022. 7. 15.
FLASK - 3주차 블로그 만들기 - 기초 가상환경 설정을 해준 뒤 pip install Flask-SQLAlchemy 와 pip install Flask-Login 이라는 명령어를 입력해줍니다. - (ORM 사용할 것이므로) ORM이란?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매핑해주는 것을 말합니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은 클래스를 사용하고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테이블을 사용하기 때문에 객체 모델과 관계형 모델 간불일치가 존재하게 됩니다. 이때 ORM를 통해 객체 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SQL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이 불일치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습니다 즉 SQL 질의어의 사용없이 객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다룬다는 것 입니다. blog 패키지 폴더 안에 있는 __init__.py 에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줍니다 init에서 만들어준.. 2022. 7. 15.
2309 - 일곱난쟁이 문제 왕비를 피해 일곱 난쟁이들과 함께 평화롭게 생활하고 있던 백설공주에게 위기가 찾아왔다. 일과를 마치고 돌아온 난쟁이가 일곱 명이 아닌 아홉 명이었던 것이다. 아홉 명의 난쟁이는 모두 자신이 "백설 공주와 일곱 난쟁이"의 주인공이라고 주장했다. 뛰어난 수학적 직관력을 가지고 있던 백설공주는, 다행스럽게도 일곱 난쟁이의 키의 합이 100이 됨을 기억해 냈다. 아홉 난쟁이의 키가 주어졌을 때, 백설공주를 도와 일곱 난쟁이를 찾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아홉 개의 줄에 걸쳐 난쟁이들의 키가 주어진다. 주어지는 키는 100을 넘지 않는 자연수이며, 아홉 난쟁이의 키는 모두 다르며, 가능한 정답이 여러 가지인 경우에는 아무거나 출력한다. 출력 일곱 난쟁이의 키를 오름차순으로 출력한다. 일곱 난쟁이를 찾을.. 2022. 7. 14.